책 잘 읽는 방법 #김봉진

‘책을 잘 읽는 방법’은?

우아한 형제들(배달의 민족) 김봉진 대표가 쓴 ‘책 잘 읽는 방법’은 제목 그대로 책을 잘 읽을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다.?누구나 반나절만 투자한다면 읽을 수 있을 정도의 가볍고 쉬운 책이며, 소개하는 방법 중 5 ~ 10개 정도를 즉시 적용하여 책을 잘 읽을 수 있는 첫걸음을 쉽게 내딛을 수 있다.

 

멋들어진 리뷰보다 ‘책 잘 읽는 방법’을 잊지 않기 위해 책에 나온 To-do list(할 일 목록) 위주로 적어본다.?해당 목록을 보고 무언가 땡긴다면 바로 책을 주문하길 추천해본다. 쉽고 좋은 책이다.

 

 

 

[To-do] 책 잘 읽기

  • (글자를 읽지 말고) 저자의 생각을 읽자.
  • 책에서 변명 찾지 않기.
    • 책을 읽는 것은 생각의 근육을 키우고 내가 가지고 있던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고, 그동안 보지 못했던 것을 보기 위함이다.
  • 일단은 많이 사야, 많이 본다.
    • “읽은 책을 사는 것이 아니라, 산 책 중에서 읽는 것이다.” – 김영하 작가
  • 가까운 곳에 책을 두자.
    • ex. 가방에 책 한권을 넣고 다니기, 침대 위에 책 두기, 책상 위에 볼 책 꺼내놓기 등
  • 일주일에 한 권 읽기(3개월 이상 훈련하기).
    • (육체운동과 마찬가지로)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독서도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 책에 대한 편견 없애기
    • 읽지 않은 책에 죄책감 갖지 않기.
    • 책 소중히 다루지 않기(ex. 밑줄 긋기, 책 접기 등).
    • 순서대로 읽지 않기(단, 스토리가 있는 소설 등과 같은 문학작품은 제외)
  • 책 고르기
    • 서점에서 책 사기 (우연히 산책하다 좋은 책 만나기)
    • 좋은 책 잘 찾는 법
      • 1) 주변인의 추천 (ex.? SNS, 네이버 지식인의 서재, 서울대/하버드 선정 도서 등)
      • 2) 책을 소개하는 책 사기
      • 3) 읽던 책에서 다음 책을 찾기
    •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 확인하기
      • 동시대의 정신이 담겨 있다. 현 시대의 함께 살아가는 이들의 고민과 문제의식을 알 수 있다.
    • 머리말과 목차를 통해서 책 내용 빠르게 파악하기
  • 책 친구 만들기
    • 1) 오프라인 독서모임, 온라인 카페모임 등
    • 2) 배우자 혹은 가족**
  • 책 읽는 기술
    • 속독법을 익혀서, 독서에 적절히 활용하기
      • ex.? 속독법: 명사와 동사만 빼내어 대각선으로 빠르게 읽기)
    • 한 번에 3 ~ 5권씩 읽기(지루함이 덜해요~)
    • 어렵고 두꺼운 책 도전하기(6개월에 1번 정도씩 훈련하기)
    • 어려운 인문고전은 ‘만화책 버전’을 통해 쉽게 읽기
  • 독서에 대한 태도와 방향성
    • 고전을 통해 내가 사는 세상의 메커니즘 공부하기
    • 당장 일과 상관없는 주제로 세 권 이상 읽어보기
      • 하나의 주제에 대해 세 권 이상 읽으면 최소한의 식견이 생긴다.
    • 몰라도 꾸준히 읽자. 지식의 거름망이 촘촘해진다.
      • ex. 영어를 몰라도 계속 말하다 보면, 말을 이해하고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 1년 선배보다 10년차 실용서
      • 이유: ex. 10년동안 이메일 쓰는 법만 연구한 책이 몇 년 선배보다 낫다)
    • 내 서재 만들기
    • 자신만의 책 지도 만들기
    • 책 속의 글로 내 생각을 멋지게 전달하기
    • 과시적 독서가 되기 (ex. Facebook, Instagram 등에 책 자랑하기)
    • (+개인적인 Tip) 책은 내 돈 주고 보자!
      • 보통 공짜로 얻거나 쉽게 얻은 것에 대해서는 가치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피같은(?!) 내 돈을 내고 책을 구매하는 것도 동기부여의 한가지 방법일 듯!

 

끝으로 바로 실천한 ‘읽던 책에서 다음 책을 찾기’ + ‘산 책 중에서 읽기’!
책을 잘 읽는 방법을 아는,
책을 잘 읽는,
과시적 독서가가 되는 그날까지!
#가즈아

 

 

글쓴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