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말 #공자 #나가오다케시

논어의 말?

논어란 ‘올바른 삶의 방식’이라는 인류의 가장 보편적이고 중대한 문제에 대해서 하나의 큰 해답을 제시한 공자의 말로 이루어진 유교의 경전이다. 실제 논어는 500장의 글이 총 20편으로 나뉘어진 형태이나, ?‘논어의 말’은 그중 200장만을 채택하여 현대인들이 알기 쉽게 재구성하였다. (실제 논어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이 담긴 어록으로, 내용 자체가 매우 간략하고 함축적이어서 원문의 경우 그 의미를 바로 이해하기도 어렵고 여러가지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한다.)

 

모든 분들에게 추천!

논어는 ‘올바른 삶의 방식’에 대해서 다룬 책으로, 모든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서재의 잘 보이는 한켠에 두고, 이따금씩 꺼내보면서 자주 접해야할 책이다.?

책의 내용은 전반적으로?살다보면서 누구나 들어봤음직한 좋은 어록들이 반복되고 또 반복된다. 이러한 어록에서 중요한 것은 실제 이러한 것을 스스로 느끼고 깨닫고 실천했느냐의 차이가 아닐까 싶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읽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함으로, 서재 잘 보이는 곳에 두고 이따금씩 혹은 고민이 있을 적에 꺼내보길 추천한다.

모두 주옥같은 말들이지만 특히 인상 깊었던 5가지를 발췌하여 공유해본다(2018년 7월 기준).

1_가장 뛰어난 사람은 즐기는 사람이다

나이가 한 살 한 살 더 먹어갈수록 가장 적어지는 것 중에 하나가 열정과 웃음이 아닐까 싶다. 차이는 무엇일까? 바로 ‘즐기느냐 즐기지 못하느냐 차이’가 아닐까 싶다. 우리 개개인의 즐거운 삶을 위해서라도, 우리 모두는 그 무언가를 즐기고 몰입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

 

2_기술이 아닌 배려심이 필요하다

최근에 많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주제다. 요컨대, ‘관리자’와’ ‘리더’의 문제로 이야기할 수 있는데, 관리자와 리더는 다르다. 관리자는 말 그대로 여러가지 업무나 인력을 잘 관리하는 사람이라면, 리더는 구성원 개개인을고취시켜서 올바른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배려심 깊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3_실수, 그 이후의 태도

실수는 누구나 저지를 수 있다. 단, ‘군자(= 유교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상)’라면 실수를 인정하고 이를 만회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비롯 사람이라면 지녀야할 중요한 태도가 아닐까 싶다. 시작은 매우 단순하다고 본다. ‘미안합니다’ 한마디를 먼저 내뱉는 것만으로도 좋은 출발이 될 수 있다.

 

4_많은 역경과 고난에도 불구하고, 공자는 주위에 대한 배려와 유머를 잊지 않았다.

다들 공자를 그냥 뛰어난 사상가로 알고 있겠지만(나 역시도 그랬다), 공자는 그의 뛰어난 사상을 바탕으로 정치가로써 야심이 매우 컸다. 하지만 그의 정치가로써의 꿈은 그가 뜻한대로 잘 이뤄지지 않았는데, 그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그는 언제나 당당하며 주위에 대한 배려와 유머를 잊지 않았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 대해 큰 감명을 받았는데, 최근에 과몰입된 업무로 인해서 배려와 유머가 부족했던 나 자신에 대해서 크게 반성했다. 얼마나 잘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언제나 배려하는, 항상 웃을 수 있는 내 자신이 되기로 다짐해 본다.

 

5_쉼 없이 나아간다

‘유수인생’이란 단어가 떠올랐다. 작고하신 아버지의 경우, 서예 실력이 꽤나 좋으셨는데 항상 ‘유수인생’이란 단어를 즐겨쓰셨었다. 어렸을 적에는 ‘그냥 순탄하게 살자?!’라는 식으로 가볍게 흘려버렸는데, 지금 30대가 되버린 시점에서의 해석은 다소 복잡한 듯 하다. 돌과 같은 역경도 있고 폭포같은 시련도 있겠지만, 물과 같이 끊임없이 일관되게 순탄하다는 듯이 나아가는 게 ‘유수인생’이 아닐까? 아버지에게 묻지 못하는 게 아쉽다.